요즘은 양파나 블루베리, 꾸지뽕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서 와인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그 맛들에 대한 기대는 크지가 않다. 나에게 와인이란 전통 와인용 포도만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거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와인에 관심을 갖고 있는 분들은 알겠지만 전용 포도가 따로 있다. 비가 많이 내리지 않은 프랑스 쪽 유럽이나 칠레, 호주 등에서 주로 생산되는 포도인데 우리나라에서도 소량이지만 생산이 가능하더라. 얼마 전 이 포도를 이용한 와인 만들기 체험이 있어서 다녀왔는데 나중에 집에서도 직접 만들어 먹을 수 있을 만큼 어렵지 않기 때문에 노트 정리 식으로 블로그에 기록을 해 놨다가 참고를 하려고 한다.
▲ 이 녀석이 레드 와인을 만드는 '까베르네 쇼비뇽'이라는 포도 품종이다. 하지만 이번에 우리가 만들어볼 와인은 청포도를 이용한 화이트 와인이었다.
▲ 와인용 포도는 일반적인 것들보다 크기가 작고 거의 속이 들여다 보일 정도로 투명한 느낌이 있더라. 수확하는 중간중간 하나씩 따서 먹어봤는데 그 당도 또한 보통 포도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달았다.
▲ 이렇게 수확한 녀석은 이제 알맹이를 하나씩 떼어 내야 하는데 포도알이 작고 촘촘하게 달려 있는 경우가 많아서 떼어내는데 약감의 섬세함을 요구하더라.
▲ 수확한 양이 얼마 안 돼서 금방 마무리될 거 같았는데 알맹이 하나라도 다칠까 봐 조심스럽게 하나씩 떼어내느라고 시간이 조금 소요됐다.
▲ 그런데 다음 과정은... 그렇게 하나씩 소중하게 떼어낸 알갱이를 사정없이 으깨줘야 한다. 그냥 대충 떼어내도 될 걸 그랬다. 여하튼 알맹이만 따로 분리해서 손으로 사정없이 쥐어짜서 으깨준다.
▲ 포도의 당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와인 만들기 과정에서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데... 포도를 으깨다 보니 그 과즙 량이 상당하다.
여기서 와인 만들기 상식을 하나 정리하고 넘어가자면 레드와인은 포도의 껍질과 씨를 함께 발효를 시켜서 만드는 반면 화이트 와인은 깔끔함을 위해서 이것들을 다 걸러주고 과즙만을 발효시켜서 만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깔끔함을 원한다면 화이트 와인을 마시고 포도의 좋은 성분들을 섭취하고 싶다면 레드와인을 마시는 게 좋다.
▲ 한 알씩 소중하게 떼어낸 포도 알맹이를 사정없이 으깬 후 화이트 화인을 만들기 위해서 과즙만을 분리하고 있는데 그 빛이 맑진 않지만 이 녀석이 발효되면서 투명하고 깨끗한 와인으로 변신을 하게 된다고 한다.
▲ 맑고 투명해 보이는 청포도를 수확해서 과즙을 추출했는데 어째서 색이 이럴까?ㅋㅋㅋ 여하튼 발효과정에서 불순물은 아래쪽으로 가라앉기 때문에 분리가 가능하다고 한다.
▲ 그리고 포도 와인의 도수를 결정짓는 당도를 체크해본다. 만약 이게 부족하면 계산법에 의해서 부족한 만큼 당분을 보충해줘야 하는데 레드와인은 24브릭스, 화이트 와인은 22브릭스의 당도가 딱 좋다고 한다. 우리가 수확한 과즙은 21.5브릭스여서 더 이상 첨가하지 않고 그대로 진행을 했다.
▲ 다음으로는 불순물을 정제해줄 첨가제를 소량 넣는데... 수확한 후 당도를 위해서 물의 접촉도 전혀 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상태이기 때문에 불순물들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이것들을 걸러주기 위한 성분과 효모 등을 약간 첨가한 후...
▲ 발효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밖으로 배출하고 산소는 들어가지 못하도록 AirLock 장치를 이용해서 뚜껑을 막아주면 1차 과정은 마무리가 된다. 앞으로 일정한 시간이 되면 불순물도 걸려줘야 하는 등 몇 가지 과정이 더 남아있지만 우리가 체험해 볼 수 있는 건 여기까지였다. 나중에 직접 만들 때를 대비해서 나머지 과정도 모두 숙지하고 정리를 해왔는데 반드시 직접 만든 와인을 마셔볼 날을 기대하며 천천히 준비를 할 계획이다.
이렇게 해서 포도 화이트 와인 만들기 과정을 정리해봤는데 어렵지 않기도 하고 한 번 해봤으니 나중에 이 글과 메모해 온 자료를 바탕으로 나만의 와인을 만들어보리라 다짐하며 이번 글은 마무리한다.